[7]
[X100]Dreamer | 25/11/24 | 조회 1774 |SLR클럽
[51]
김벌레 | 25/11/24 | 조회 1071 |SLR클럽
[6]
야신포크 | 25/11/24 | 조회 947 |SLR클럽
[12]
∑ⓔFatMan | 25/11/24 | 조회 931 |SLR클럽
[8]
댕댕댕댕멍 | 25/11/24 | 조회 835 |SLR클럽
[11]
ShinGun | 25/11/24 | 조회 801 |SLR클럽
[15]
[X100]Dreamer | 25/11/24 | 조회 818 |SLR클럽
[9]
박가네 | 25/11/24 | 조회 681 |SLR클럽
[8]
[X100]Dreamer | 25/11/24 | 조회 767 |SLR클럽
[13]
딸기스티커 | 25/11/24 | 조회 732 |SLR클럽
[11]
umuni | 25/11/24 | 조회 797 |SLR클럽
[10]
ㄷㄷㄷ | 25/11/24 | 조회 707 |SLR클럽
[7]
[우유♥어묵] | 25/11/24 | 조회 402 |SLR클럽
[6]
워렌존버 | 25/11/24 | 조회 565 |SLR클럽
[9]
인생쌍꺼풀 | 25/11/24 | 조회 721 |SLR클럽
원인은 뭐랍디까?
글 제목에 원인 써있는거 아닌가요
아니 그러니까 화재원인이 뭐냐고 물어보는것 같은데요...
많은 양돈장은 건물 구조 특성상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열 장치와 환풍기, 전기 배선이 밀집해 있습니다. 따라서 조금만 불씨가 생겨도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합천 화재도 그러한 구조적 특성이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현장 지붕은 금속재였지만 내부 단열재가 불에 약해 화염 확산은 걷잡을 수 없이 빨라졌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반응: ‘또 돈사 화재’, ‘예방이 가장 어렵다’
합천 화재 소식은 지역 커뮤니티와 축산 커뮤니티, 그리고 일반 포털 게시판에서도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반응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는 “최근 돈사 화재가 너무 잦다”는 우려입니다.
축산업에 관심 있는 네티즌들은 “가을·겨울로 접어들면서 난방 사용량이 늘어 화재가 반복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열기나 보온등, 환풍기 모터 과열 등이 돈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만큼, 이 시기에 화재가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는 전기 안전관리 의무 강화 필요성입니다.
“노후 배선이 문제”, “전기설비 점검 강화해야 한다”, “자동 화재감지기나 스프링클러 의무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소규모 농가는 설비 개선에 큰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는 현실적인 의견도 있었고, “정부 지원 없이는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셋째는 ‘작업자 생명이라도 지켜서 다행’이라는 반응입니다.
실제 많은 네티즌이 “9명 모두 대피한 건 정말 다행”, “동물은 안타깝지만 사람 피해는 없어야 한다”며 안도를 표했습니다. 양돈장 구조 특성상 화염·연기가 순식간에 퍼지는 만큼, 작업자들이 제때 탈출한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뭐 사실은 아무도 모르는게 정답이겠네요
현재는 추정만 할 뿐
화재라서 다행이라면 다행 또 전염병 같은거 터졌으면 큰일날뻔.
그나저나 피해액 추산이 20억이군요.. 와... 난리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