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R클럽 원문링크 https://m.slrclub.com/v/hot_article/1380749



프랑스가 이지경이 된이유
1 끝없는 복지
2 아프리카 나라들에 대한 지배력 약화
1 프랑스는 원래 복지가 뛰어나기로 유명한나라
1-1 주 34시간? 35 시간 근무
1-2 여름휴가 한달
1-3 노후 연금도 빵빵함
2 즉 복지가 과도하게 발달
2-1 나라가 선진국이면 임금상승은 필연적
2-2 복지가 과독해지면 전체적인 생산성 하락
2-3 생산비의 증가
3 하지만 저런것을 뚫고 프랑스는 잘나갔음
3-1 임금이나 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와인 잘나감
3-2 노동력이 비싼대 농업으로 생산하는 단가도 낮음
3-3 사람들이 한달씩 쉬는데 재화의 가격 경쟁력이 비교적 뛰어남
4 이것을 가능하게 했던것은 과거 아프리카 식민지
4-1 과거 프랑스는 아프리카 식민지를 많이둠
4-2 거기서 나오는 착취로 자국민을 배불리게 됨
4-3 식민지 시대가 끝난이후
4-4 식민국가를 경제적으로 종속시키거나 영향력 아래에돔
4-5 이를 통해 자국의 재화에 대한 생산 단가를 낮춤
4-6 우라늄도 식민국가에서 헐값으로 대거 수입해 에너지 생산단가 낮춤
5 그런데 아프리카 나라들이 프랑스 영향력에서 벗어남
5-1 프랑스영향력에서 벗어나 중국 , 러시아등과 연계
5-2 아프리카로 인해 꿀빨았던 프랑스는 난리가 남
5-3 더이상 싼값에 물건을 수입할수 없음
6 그래서 빚이 gpt 대비 100프로를 넘어감
6-1 자기네들 생산성이 떨어지니 공휴일 2일 줄이자고함
6-2 시민들 폭력시위
6-3 국민들이 저항하자 국무총리불신임및 내각들 모두 사퇴함
6-4 새로운 총리가 들어왔지만 국민들이 무서워 공휴일 2일 줄이는거 없던일로...
7 의회가 국민들의 파퓰리즘에 의해 경제정책에 영향을 끼치니
피치에서 국가 신용등급 한단계 강등
7-1 프랑스 기업의 채권보다 프랑스 채권 이율이 더 비싼 역전현상 발생
7-2 정치적 불안이 경제에 악형향을 끼친다고 판단
7-3 앞으로 무디스및 기타 업체들도 프랑스 신용등급 낮출 계획
현재 우리나라
1 국가 채무가 높으면 왜 안되냐?
선진국들 봐라 채무가 gdp의 100프로 되는 나라들 많다
라고 우리나라에서 제일 높은분이 말함...
1-1 하지만 그런나라들은 기축국가로 자기네들 돈이 세계의 화폐로 쓰이기 때문에 가능
우리나라는 gdp보다 채무가 높을경우 아주 큰 난리가 남.. 외국인이 돈뺴는 순간 끝임
1-2 우리나라 1짱이 기업키워서 gdp 올린 생각은 안하고
빚내자 라는 생각을 먼저함..
2 주 4.5 시간하자.
2-1 프랑스는 식민지라도 있었지
2-2 우리나라는??
2-3 프랑스도 공휴일 줄이는 마당에??
2-4 우리는 식민지도 없는데 생산성떨어지고
생산단가 높이자고???
3 자발적 퇴사자 시럽급여 ㅎㅎㅎㅎㅎㅎㅎ
4 노란봉투법 ㅎㅎㅎ
지랄한다
진짜 간결하게 요약해주셨네요.
같은 의견입니다 ㅎ
프랑스 재정 위기의 원인으로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크게 두가지입니다. 코로나19와 유럽의 에너지 위기 대응을 위한 대규모 지출, 그리고 마크롱 대통령의 감세 정책입니다. 프랑스는 코로나19 대유행기인 2020년 이후 2400억유로(393조원) 이상을 지출했습니다.
왜 시위하냐? 부자감세해서 이지경이 됐는데 복지삭감해 열받은거에요.
그래서...?
쓰는돈은 전부 국내에서 소비 되는데..
우리나라 자칭 부자들이 나라욕을 그렇게 해대면서 죽어라 한국에 붙어있는 이유 : 그나마 한국이 돈벌어먹기 젤 간편하기 때문. 심지어 부동산 보유세도 사실상 없는 수준이라서.
잘해주면 더 많이 요구하거나 기어오르는거 당연한거 아닌가여? 회사에서 점심밥 공짜로 주다가 지원없이 각자 해결하라고 하면 회사 관두던데
복지, 식민지는 어느 대가리에서 나온 사고 방식인거야? 그걸 입증할만한 논거는 있니?ㅋㅋ
닉보고 쓰윽 내려서 댓글 봄 역시 읽을 가치 없었 시간 아꼈다 ㅎ
한국내 부채, 한국의 복지 지출 비율의 비교 정도는 해야죠?
그냥까고 싶은 것 뿐이고 망해라 기도하는 것 같습니다
유튜부 내용 복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