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에 한국이 가성비 최강으로 유명하더니..?
넷플릭스 1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 일본 배우들을 대표해 출연료 인상 요구
“다른 영화와 비교해서 출연료(넷플릭스)는 좋지만, 일본 배우들은 여전히 기업 광고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업으로 돈을 벌 수 있어야 한다”
‘일본 TV드라마 제작비 현황’에 따르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경우 주인공은 회당 1천만엔(약 9300만원) 이상 받기도 하지만, 한국과 비교하면 적게는 3~4배, 많게는 10배가량이나 차이
‘폭싹 속았수다’는 600억원, ‘오징어게임3’는 100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주연 배우들의 출연료도 역대급이다. 한국의 회당 드라마 제작비는 20억원이 기본이 됐지만, 일본은 10억원이면 충분
한국에 많이 투자하긴 햇나 보네
동양 기준에서는 제일 비싼건가?
해외까지 유명한 일본 드라마 하면...
고독한 미식가정도인가...?
사극쪽으로는 좀더 있을거같기도 한데
현대풍이면 생각나는거 없네
특촬은 좀 예외고
몇억 투자해서 만루 홈런 여러번 터트리면 밀어줘야지.
넷플릭스 일본 드라마 중에 좀 흥미로웠던건 리키시(스모에 대해 잘 몰라서 흥미로웠음. 내용자체는 클리셰 범벅이었지만)랑 벌거벗은 감독 정도? 근데 소재적인 측면을 빼면 서사가 다 그게그거처럼 보여.
곡성처럼 한국컨텐츠에 캐스팅되는 방법이 있긴한데 경쟁률 개빡세겠지
내수 시장 기대서 전세계 1위 해먹는 갈라파고스 중국 빼면 탙아시아급이지
한국도 겁나 싸게 만들다가 글로벌 히트 치니까 높아진거
일본도 글로벌 히트 치면됨
HULU가 쇼군으로 대박이 났는데
넷플릭스쪽도 처우 개선이 되지않으려나?
오징어게임 제작비 10배는 더 넣은 작품보다 오징어게임이 더 많이 벌어줬으니 가성비 소리나오지
일본 드라마 성적도 애매하고 애니메이션은 성공할만한거는 지들이 만들고 흥행 불투명한거 넷플에 넘긴다고 하니
천만엔 받는데 돈을 못번다니 기업광고를 한다니 ㅋㅋ
난 헐리웃을 비롯해 배우들에게 그렇게 돈 많이 안줘도 된다고 보는 파라서
차라리 감독,원작자,제작스태프들에게 투자를 더 하는게 더 좋은 작품이 나오더라
한국 드라마는 넷플릭스 이전까지도 배우 가성비는 없었음
주연배우들 몸값이 헐리우드에 비해 낮은거지 꽤 높았던건 사실이고
대부분이 스태프들 최저도 못굴리면서 만들던거라 제작비가 저렴했던건데
넷플릭스는 적어도 스태프들 몸값도 챙겨주고 있고
게다가 한국은 OTT 1위가 글로벌에서도 1위인 넷플릭스라 서로서로 잘먹히는데
일본은 내수 OTT 1위가 아마존 프라임이고 넷플릭스는 3~4위라 한국에서 디즈니 플러스급 포지션임
일본이 넷플릭스를 안봐주는데 넷플릭스가 일본을 챙겨줄 이유가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