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남아있는 고구려 승려 조각상
혜자법사좌상인데..
만들어진 시기는 12세기지만 기존에 남아있던 조각과 초상, 자료와 기록을 모사한 것이라 합니다.
백제 승려 혜총과 함께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고 쇼토쿠 태자의 스승으로 학문을 가르쳐 삼보동량, 즉 불교의 대들보라고 불렸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불교계에서 존경받는 승려라고 하네요.
묘하게 생긴 모습이 친근한 게 특징.
[12]
쌈무도우피자 | 21:13 | 조회 0 |루리웹
[14]
루리웹-1033764480 | 21:12 | 조회 0 |루리웹
[6]
simpsons012 | 21:11 | 조회 0 |루리웹
[20]
루리웹-1098847581 | 21:11 | 조회 0 |루리웹
[30]
메카스탈린 | 21:11 | 조회 0 |루리웹
[6]
안경모에교단 | 21:03 | 조회 0 |루리웹
[16]
고양이육구 | 21:11 | 조회 0 |루리웹
[5]
대지뇨속 | 21:09 | 조회 0 |루리웹
[10]
데스티니드로우 | 21:10 | 조회 0 |루리웹
[15]
징기벌레 | 21:10 | 조회 0 |루리웹
[24]
네리소나 | 21:10 | 조회 0 |루리웹
[15]
반닥1 | 21:06 | 조회 0 |루리웹
[26]
aespaKarina | 21:06 | 조회 0 |루리웹
[0]
라이센 | 20:05 | 조회 0 |루리웹
[2]
루리웹-0202659184 | 21:06 | 조회 0 |루리웹
그러고 보니 고구려 승려 혜관惠觀도 일본 삼론종의 개산조.
병향로柄香爐 들고 계신 모습이 흥미로움. 병향로는 국내에도 유물로 남아있지만
실제로 사찰에서 사용되는 걸 보려면 일본에 가서 의례를 집전하는 모습을 봐야 하니..
신라승 혜일惠日은 일본 진언종 개조 공해空海와 형제제자(사형)였고
당 과 일본 에서 활동했던 우리나라 스님들이 적지 않은데
그분들의 정보는 대부분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게 아쉬울 따름임..
저 좌상은 또 비불이라서 사진만 공개되어 있지 직접 보기가 어렵더군요. 일본에 만약 살아볼 수 있으면 비불 공개할 때 가서 보고 사진도 찍어보고 싶군요. 순수한 예술적 가치만 따져도 상당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