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문란상품권 | 25/08/31 | 조회 0 |루리웹
[2]
큐베의기묘한모험 | 25/08/30 | 조회 0 |루리웹
[16]
살아있는성인 | 25/08/31 | 조회 0 |루리웹
[3]
Morgenglut | 25/08/31 | 조회 0 |루리웹
[9]
루리웹-1033764480 | 25/08/31 | 조회 0 |루리웹
[7]
쥴리는명신인건희 | 25/08/31 | 조회 1654 |보배드림
[6]
탄핵이답이다 | 25/08/31 | 조회 982 |보배드림
[8]
SKDAKSDL | 25/08/31 | 조회 173 |SLR클럽
[1]
도미튀김 | 25/08/31 | 조회 0 |루리웹
[3]
튀긴감자 | 25/08/31 | 조회 0 |루리웹
[3]
강등 회원 | 25/08/31 | 조회 0 |루리웹
[8]
Morgenglut | 25/08/31 | 조회 0 |루리웹
[1]
아로레이드 | 25/08/31 | 조회 0 |루리웹
[0]
이민아님이세카이 | 25/08/31 | 조회 0 |루리웹
[0]
아로레이드 | 25/08/31 | 조회 0 |루리웹
저건 국민들이 분노해서 사라진거지 뭔놈의 넷플 때문에 사라져
드라마 제작비가 어디서 나오는지 아세요?
국민들이 분노했으니까 조선구마사는 2회 방송 하고 폐지 됐고
드라마에 나오는 중국자본 티 팍팍 나는 광고들에 국민들이 분노했으니까 이제 사라진거지
이게 왜 넷플 때문이냐는 댓글이 이해 안 되면 할말 없음 ㅎㅎㅎ
드라마든 영화든 돈을 투자하는 쪽 의견을 반영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철인황후나 조선구마사 같은 드라마들이 나왔는데 중국 자본이 계속 투자했으면
시청자들이 알게 모르게 계속 그런일들은 벌어질수 밖에 없는거죠.
넷플릭스 등장이 가져온 변화와 근거
'조선구마사' 사태 이후,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들이 중국 자본의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중국풍' 논란이 줄어들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대규모의 안정적인 자본: 넷플릭스는 한국 콘텐츠에 막대한 제작비를 직접 투자합니다. 2021년 약 5,000억 원에 이어, 향후 4년간 약 3조 3,375억 원이라는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이는 제작사가 재정적인 이유로 중국 자본에 의존할 필요성을 크게 줄여주었습니다.
창작의 자율성 보장: 넷플릭스는 제작 과정에서 감독과 작가의 창작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국가의 입맛에 맞추거나 PPL(간접광고)을 무리하게 삽입하도록 요구하는 압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콘텐츠의 완성도와 독창성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 넷플릭스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190여 개국에 콘텐츠를 동시 유통합니다. 따라서 제작사들은 더 이상 거대 단일 시장인 중국만을 목표로 할 필요 없이, 전 세계 시청자를 대상으로 보편적인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시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넷플 영향도 확실히 있음 국민이 분노한다고 정부나 방송국이 듣는척 합니까?
당시 드라마나 영화 제작비가 치솟으면서 광고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지면서 투자환경이 나빠지고 있어 어쩔수 없이 넘치는 중국자본을 받아들일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투자자가 원하는대로 제작 방향이 정해졌던겁니다.
제작자가 원하면 그런 티나는 PPL을 안하고 다른 방식으로 친중국적 문화 컨텐츠 얼마든지 만들수 있습니다.
반대로 반중국적 드라마나 영화는 투자자가 원하지 않게 되니 못만들게 되는거죠.. 만들려고 해도 적절한 투자자가 없으니 또 못만드는거구요.
그런데 넷플릭스가 나와서 제작 자율성을 보장해주고 제작원가도 보전해줬죠.. 리스크를 넷플릭스가 떠안았으니 영화 드라마를 감독 작가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수 있었던 겁니다.
케이팝데몬헌터스도 아무도 그런쪽으로 만든다고 하면 투자 안했을테지만 넷플릭스가 과감히 투자하고 감독이 알아서 해준것이라 그런 결과가 나온겁니다.
헐 그러네...
스타들 때려부어서 중국 사극 하려다 엎어진거도 있었는대
그게 정상 아닌가? 짱깨머니 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