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에서 노벨상 만든 썰 푼다
와! 개신기!!
화산지대인 옐로스톤 공원 아시죠?
아이고 머리야... 거기 온천이 60도가 넘는데 거기서 생물이 어케 사니
다 수비드 될텐데
ㅎㅇ. 근데 제가 그걸 해냈습니다
애초에 옐로스톤 온천에 있는 이 무지개 무늬가 미생물땜 생기는거라고
아이고 머리야... 이게 산다고??
이 아이들을 더무스 아쿠아티쿠스 (Thermus aquaticus)라고 하죠!
와 미친
그것좀 보여줘봐
다들 알겠지만 세포가 분열할 때 자기 DNA를 복제해
그리고 이 DNA 복제는 DNA 중합효소라는 친구가 하지
그래서 이론적으로라면 DNA랑 DNA 중합효소만 넣어주면 시험관 안에서도 DNA 복제가 가능함
이론적으론
근데 DNA의 이중나선은 아주 견고한 구조라서 일반적인 방법으론 단일 가닥으로 풀 수 없어!
??? 그렇게 튼튼한 구조이면 생명은 어떻게 DNA 가닥을 풀고 DNA 복제함??
이렇게 DNA만 전문적으로 풀어내는 단백질들이 달라붙어서 죠오오옹나 열일함 ㅎㅎㅎ



바로 열을 가하는거다!!
열을 가하면 DNA 이중나선 구조가 파괴되어 단일가닥으로 분리되지롱!
와! 그럼 시험관에 DNA랑 DNA 중합효소를 넣고 열을 가하면 DNA가 복제되는거임???!
겡쟝해요오오오!!
아니
이 방법의 문제는 단백질이 수비드가 되어버린다는 것이야





Taq는 타쿠라고 읽음?
5개 Taq면 오타쿠...
탴 폴리머라아제 라고 읽으면 됩니다
그래서 저 땐 DNA검사가 존내 비쌌음. 나중에 무슨 기술이 또 나오면서 저렴해졌다던데
PCR은 이젠 학부 1학년생도 할줄아는 수준의 기본스킬이 됨
뭐라는건지 모르겠어..
생물은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낸다
못 찾은 생물은 멸종했기 때문이지!
수백기압의 압력+최대 온도 섭씨 400도 환경에서도 생물이 존재한다 하니까..
저거 발견 전에는 고온에서 분리하고 저온에서 합성하는 걸 반복해야해서 대학원생이 뛰댕겨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