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도 높게 평가하고 충성심을 롤모델로 삼았던 중국의 장군
당나라 중기의 장군 곽자의
마음만 먹으면 무신정권이나 조조 코스프레가 가능했던 살아있는 권력이면서도
나라에 충성을 다한 충신계 레전드로 언제나 제갈량과 세트로 묶여 인용된다
이순신도 난중일기에 제갈량과 곽자의를 정확하게 인용하며 국난에 맞서던 그들이 생각난다고 적었다
토번과 돌궐을 막아내고 안사의 난을 진압한 레전드 장군
곽자의가 출정한다고 하면 반란이 셀프로 해산되고
이민족들은 곽자의가 전장에 나오기만 해도 사기가 급락하고 화친부터 생각할 생각할 정도로 명성이 엄청났고
당나라 전군의 군권까지 다 장악했는데 마음 먹고 고평릉이나 위화도했으면 당나라는 거기서 왕조가 끝났을 수준이었다
위상이 어느정도였냐면 살아생전에 왕작을 받았을 정도다
황성과 성이 다른 왕을 이성왕이라고 하는데
곽자의 이전에 네임드 이성왕들은 다음과 같다
한신, 왕망, 조조, 사마소, 유유.. 대충 감이 오는가?
이성왕 = 역적이다
그래서 통상 왕작은 권신이 황제를 협박해 받아내는것 외엔 황제가 내리는 일은 거의 없는 것이었으나 곽자의는 달라고 하지도 않았는데 받았다
그런데 이양반은 모함을 당해도 이순신처럼 어명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수십만 대군의 군권을 다 쥐고 있었어도 전쟁 끝나면 바로 내놓고 물러나 유유자적하게 자기 생활하는 사람이었다
이런게 한두번이 아니었다는 것
또 너무 청렴하면 불필요하게 의심산다고 적당히 해먹으며 재산도 모았다
곽자의 아들은 공주와 혼인했는데 하루는 부부싸움을 하다가 아들이
"당신 아버지가 황제면 뭐 어쩌라고. 우리 아버지가 맘만 먹었으면 당신이 아직 공주였을것 같아?" 라는 어마어마한 소릴 함
누가봐도 나 역적이요 하는 삼족을 멸할 엄청난 발언이라 놀라고 분노한 공주가 황제에게 바로 고해 바쳤는데 황제는 껄껄 웃으면서
"네 시아버지는 그런 사람 맞다. 그가 맘만 먹었다면 이씨 천하는 거기서 끝났지. 그러니 돌아가서 잘 화해해라" 라고 말함
한편 싸움 소식을 들은 곽자의는 극대노해 아들을 물리적으로 먼저 교육한 다음(곤장 20대를 직접 침) 끌고 궁궐로 들어가 황제에게 엎드려 죄를 청하는데
황제는 애들끼리 싸운걸 갖고 뭘 그러냐며 나이먹은 우리가 이해해야한다고
황망해하는 곽자의를 위로하고 이왕 입궁한거 식사나 같이 하자며 퉁쳐버리고 사건을 마무리 한다
수년 뒤 황제가 승하한 후 다음 황제는 내심 곽자의가 부담스러웠는지 명예직 가득 얹어서 은퇴를 권했는데 곽자의는 군말없이 깔끔히 은퇴해버렸고
부귀영화와 명성을 누리며 수많은 자손들 곁에서 행복한 노년을 보냈다
그리고 사후엔 도교에서 부귀와 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모셔졌다
참고로 이순신 제갈량 곽자의 모두 시호가 충무다
충무는 정말 받기 어려운 시호인데
군공이 아주 높으면서도 끝까지 고평릉이나 위화도 하지 않고 나라에 충성하면서도 토사구팽 당하지 않아야 받는 시호다
대부분의 충무 후보자들은 태조가 되거나 팽당해 역적이 되었다
"당신 아버지가 황제면 뭐 어쩌라고. 우리 아버지가 맘만 먹었으면 당신이 아직 공주였을것 같아?" 라는 어마어마한 소릴 함
누가봐도 나 역적이요 하는 삼족을 멸할 엄청난 발언이라 놀라고 분노한 공주가 황제에게 바로 고해 바쳤는데 황제는 껄껄 웃으면서
"네 시아버지는 그런 사람 맞다. 그가 맘만 먹었다면 이씨 천하는 거기서 끝났지. 그러니 돌아가서 잘 화해해라" 라고 말함
한편 싸움 소식을 들은 곽자의는 극대노해 아들을 물리적으로 먼저 교육한 다음(곤장 20대를 직접 침) 끌고 궁궐로 들어가 황제에게 엎드려 죄를 청하는데
황제는 애들끼리 싸운걸 갖고 뭘 그러냐며 나이먹은 우리가 이해해야한다고
황망해하는 곽자의를 위로하고 이왕 입궁한거 식사나 같이 하자며 퉁쳐버리고 사건을 마무리 한다
<- 황제 인성 무엇...?
애초에 하고자 하려고 해도 막을 능력이 없었음
당나라군대가 폐급 취급받는게 이 이후의 당나라인데 이 시점의 당나라도 썩 정상은 아닌데도
그걸 잘 다뤄서 이민족 제어한게 곽자의라 저런 대우를 받는거
저런 황제니 믿고 따를 수 있는 것!
다른 충무 시호 받은 분들의 왕이나 황제는.....
곽거병도 그렇고
곽세글자 장군들은 범상치가 않구만
쉽지 않았을텐데 처세술도 만렙을 찍었었나보네..
사실 선조는 토사구팽을 했는데 그것마저 이순신이 받아들인거지
떠나야 할 때, 떠나는 그 뒷모습 얼마나 아름다운가
"대부분의 충무 후보자들은 태조가 되거나 팽당해 역적이 되었다"
이 점에서 보면 후보자 당사자의 충성심과 능력치도 만땅이어야 하지만 주군의 인물됨도 중요함. 인재를 찾아내는 능력+인재를 믿어주는 능력 모두...
선조는 이순신 장군을 발굴해내는 데 까지는 기가막힌 능력을 보여줬으나 그 이후가 그...어 음...
곽자의도 곽자의인데
황제 ㄹㅇ 대인배네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