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요약빌런 | 19:35 | 조회 0 |루리웹
[7]
보추의칼날 | 19:32 | 조회 0 |루리웹
[15]
크산테 너프점 | 19:34 | 조회 0 |루리웹
[13]
강등된 회원 | 19:34 | 조회 0 |루리웹
[7]
ㅇㅍㄹ였던자 | 19:31 | 조회 0 |루리웹
[31]
Prophe12t | 19:31 | 조회 0 |루리웹
[6]
메사이안소드 | 18:14 | 조회 0 |루리웹
[17]
Gouki | 19:24 | 조회 0 |루리웹
[55]
파이올렛 | 19:29 | 조회 0 |루리웹
[22]
captured | 19:28 | 조회 0 |루리웹
[12]
하늘과바람과별과時 | 19:28 | 조회 319 |SLR클럽
[8]
JS | 19:24 | 조회 561 |SLR클럽
[10]
루리웹-3139040074 | 19:26 | 조회 0 |루리웹
[16]
비취 골렘 | 19:27 | 조회 0 |루리웹
[7]
고기란쥬 | 18:59 | 조회 0 |루리웹
공산당이 밀어줘서 내수시장이 받쳐주니 압도적으로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하죠.
버스업체들이 돈이 많지도 않고 영세해서 가격이 정말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고.
결국 이런식으로 여기저기 다 잠식해나갈것 같습니다.
중국 전기차들이 한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가운데, 전기버스 등 중국 차가 강점을 가진 차종에 대한 정부 보조금 기준이 강화된다.
환경부가 지난달 21일부터 이번 달 9일까지 행정 예고한 ‘전기자동차 보급 대상 평가에 대한 규정’ 개정안에 따르면, 전기버스 보조금 지급시 배터리 에너지 밀도의 기준이 내년부터 강화된다.
대형 전기 승합차의 경우 올해까지는 365Wh/L(부피당 에너지밀도)을 초과하면 보조금이 지급되지만, 내년부터는 530Wh/L을 넘어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1년 만에 45% 높은 기준이 적용되는 것은 이례적이다. 환경부는 이 기준선을 2027년 557→2028년 584→2029년 614Wh/L로 지속적으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에너지 밀도란 배터리가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부피로 나타난 값이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가볍고 주행가능 거리가 긴 전기차를 만들 수 있다. 통상 리튬이온 배터리는 500~700Wh/L,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300~500Wh/L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국산 전기버스에, LFP 배터리는 중국산 전기버스에 주로 장착돼 있다.
이 때문에 환경부의 새 기준 적용시 LFP 배터리를 장착한 중국산 전기버스 상당수는 보조금을 못 받을 수도 있다. 국내 시판 중인 중국 비야디(BYD) 전기버스 3종은 모두 LFP 배터리를 장착했다. 현재 이들 중국산 전기버스는 1억5000만~2억 원으로 3억 원대 중반인 국산 전기버스 가격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저렴하다. 정부·지자체 보조금(중국산 약 5000만 원, 국산 약 1억 원)을 고려하면 실구매가는 중국산이 1억5000만원 더 싸다. [출처:중앙일보] http://www.joongang.co.kr/article/25330419
중국버스도 곧 대응을 하겠지만 이런 방식으로 자국산업을 보호해야지. 현대차 밀어주기라고 할까봐 정책시행 결과...
부분별로 보면 현대차의 일렉시티는 403대 (일렉시티 타운 67대 포함)가 판매돼, 전년 동기간 461대 (일렉시티 39대) 대비 12% 빠져나갔다. BYD를 포함한 중국산 브랜드의 판매량은 375대로 전년 동기간 456대 대비 17.7% 내려갔다.
국산 전기버스의 판매량을 장려하고자 겨울철 저온에 약한 LFP배터리를 장착한 중국산 전기버스의 보조금을 현대 버스 대비 4,000만 원이나 삭감했지만 결국엔 둘 다 시장 점유율이 곤두박질쳤다. 그 이유는 우진산전과 KG커머셜이 시장을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우진산전은 올해 상반기 189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간 78대 대비 142%나 뛰었으며, KGM커머셜은 89대로 전년 동기간 56대 대비 51%나 올랐다.
중국산 버스의 판매가 줄어들었지만, 우진산전과 KG커머셜이라는 경쟁자의 등장으로 현대차의 입지는 위축됐다.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 현대차는 어떻게 이 실타래를 풀어나갈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