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철덕이 사진찍은 동네를 유추하는 방법
이거 어떻게 찾는지 궁금한 유게이들이 많아서 글 써봄
옆에 구글 지도 켜면 좋음 ㅇㅇ
일단 시작하기전에
일반적으로 철도 노선은 복선 노선을 사용함:
상행선 하행선이 같은 선로에서 다니면 단선
다른 선로로 다니면 복선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대도시 근교는 (특수한 경우 제외하고) 다 복선이 기본임
그래서 선로 셀 때도 복선이 몇 쌍 있는지 세는거고, 여기서도 몇 복선이라고 표현하니 기억해두면 좋음
사진에 선로는 3복선처럼 보이는데
잘 보면 우상단에 선로가 하나 더 있음
그러니까 저게 4복선이란 이야기 ㅇㅇ
일본에서 3복선은 심심찮게 많이 보이지만
4복선은 한손으로 꼽을 정도로 그렇게 안 많음
그게 어디냐면
1. 도쿄 우에노 - 신바시 구간(일부 5복선 있음)
2. 도쿄 요요기 - 신주쿠 구간
3. 나고야 나고야 - (메이테츠) 산노 구간
이렇게 됨
Q. 역 근처에서 찍었을 가능성도 있지 않나요?
A. 일리는 있겠지만, 그러면 보통 대피선로라던가 등등으로 선로가 저거보다 더 많아질 가능성이 크고
결정적으로 좌측에 선로 벌어지는 구조가 끝난 지점으로 봐선 역에서 아주 가까울 가능성은 없어요
일반적으로 선로사이에 승강장이 있는 건 맞지만,
이런 상태에서 선로 사이에 승강장을 지으면 어떤 꼬라지가 나냐면...
이런 꼬라지가 나요
(사진은 고베에 있는 한신 전철의 카스가노마치역, 저 승강장때문에 말 많이 나와서 지금은 선로 양 옆에 터널 더 파서 넓은 승강장을 추가함)
그래서 보통은 역 진입 직전에 살짝씩 커브가 이렇게 존재해요
(사진은 도쿄의 오기쿠보역 위성사진)
Q.
이렇게 지으면 커브가 없지 않을까요?
A.
일본은 지상에 다니는 건 땅 좁다고 죄다 선로 사이에 승강장을 지었는데 걔네가 그런 거 생각하고 지었을리가 있을까요
(실제로 그렇게 지으면 면적을 좁게 쓸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그렇게 짓기도 함, 물론 다 그런 건 아니지만 2복선 이상으로 올라가면 저런 식의 승강장은 보기 드물다고 봐야 함)
아무튼 4복선이란 단서를 얻었고
이 4복선이 일본 전체를 통틀어 3곳 밖에 없다는 거 아니까
여기서 구글 지도 켜고 찾아봐도 되지만
철덕들은 이 구글 지도 켜고 찾기도 귀찮으니,
이 4복선의 노선 특징을 기억해서 이 경우의 수를 더 줄여버림:
1. 도쿄 우에노 - 신바시 구간(일부 5복선 있음)
2. 도쿄 요요기 - 신주쿠 구간
3. 나고야 나고야 - (메이테츠) 산노 구간
이 셋중 나고야부터 먼저 보면:
메이테츠 산노역 위성 사진
왼쪽부터 도카이도 신칸센 - 츄오 본선 - 도카이도 본선 - 메이테츠 나고야 선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
그렇단 이야기는
이게 3+1로 묶인다는 게 아니라.
1+2+1로 묶인다는 말임
일반인들은 저게 자연스럽게 유추가 안되니까 풀어서 설명하면
신칸센은 일본의 일반 철도랑 다른 궤간을 쓰고
메이테츠는 JR이랑 다른 회사 노선임
그리고 가운데 둘은 같은 회사 노선이니 가운데 둘이 같은 노반을 사용하고
나머지 둘(신칸센과 메이테츠 선로)은 다른 노반을 사용함: 같은 노반처럼 보이지만 그냥 평행하게 같이 달리는 구조
그렇기 때문에 저런 구조가 나올 수 없음
Q. 근데 찾아보니 메이테츠 선로는 나고야역 근처에서 다른 데로 빠지는데 나고야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A.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럴 일은 없어요
나고야역 이남은 메이테츠 선로가 지하로 들어갈 타이밍에 간사이 본선이 끼어들어서 그럴리 없어요
그리고 나고야역 이북은...
신칸센이 2복선으로 뿔어서 5복선으로 달리는 구간이랍니다~
나고야 보수기지로 빠지는 선로가 빠지는 타이밍에 메이테츠 선로도 같이 빠져서 역시 제외
그다음 도쿄의 요요기 - 신주쿠 구간:
요요기역 남단의 경우 선로가
2복선이 정중앙에 합류하는 구조라
사진의 조건이랑 일단 다름(사진속은 복선이 합류하는 경우이니)
그리고 신주쿠역 북단의 경우
츄오선 합류하는 선로가 마찬가지로 2복선이 1+1로 쪼개져서 각각 나눠서 합류하는 구조라
역시 해당 안됨
맨위의 사진에 2복선이 들어가 있었다면
아마 여기도 가능성은 있었겠지만...
아무튼 마지막 한곳이 남았는데
여기서부터는 노선도도 같이 띄워야 하니 사진으로 노선도를 띄우고 보자:
우리가 필요한 건 이정도
Q. 이게 왜 필요한가요?
A.
놀랍게도 저거도 쓸 일이 있어요
하나는 우에노-신바시로 구간이 한정지어진 이유이자, 구간 지울 때 참고 할 자료
하나는 구간 지울 거 용도로
먼저 도쿄 -칸다 구간을 보면
여기에 주황색 노선이 있어서
이미 노선이 5개에요
즉, 5복선 구간이라 제외
혹시나 못 믿는 유게이들을 위해 직접 세어주자면
왼쪽부터 츄오 본선 - 야마노테선/케이힌 도호쿠선(2복선) - 우에노도쿄라인 - 도호쿠 신칸센 해서 5복선 채워짐
그리고 츄오 본선은 칸다역 출발하자마자 바로 왼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이 구간만 절묘하게 제외하면 됨
우에노 - 아키하바라:
신칸센 선로가 아키하바라역 북단에서 지하로 합류하고,
우에노도쿄라인이 아키하바라역부터 우에노역까지 2복선으로 달리기 때문에 여기가 될 법하긴 함
실제로
우에노역 남단에 이런 곳도 있고
하지만 우에노역은 아님
왜냐?
3+1복선으로 나뉘어져야 하는데
우에노역 남단은 2+1+1로 나누어지는 구조임
그리고 우에노역부터 아키하바라역까지 저 네 선로는 같은 회사+같은 궤간에 다른 노선 합류도 없는 구간이라
사실상 붙어있는 구간
그래서 이곳 역시 제외
그럼 남은게 이제 두곳:
칸다 - 아키하바라랑
도쿄 - 신바시 이 두곳임
그중
칸다 - 아키하바라는
우에노도쿄라인이 이 구간은 별도의 고가로 달려서 고저차가 무조건 존재하는 곳
그리고 이 고가는...
아키하바라 역 구내에서 내려오는 구조이기에
만약 저 구간이 정답이었으면
노선 하나는 높이가 달라야 하는데 보면 알겠지만 네 노선 모두 높이가 동일함
그렇기 때문에 이 구간도 제외
남은건 이제 도쿄-신바시 구간인데...
Q. 잠깐만요 저기 6복선 아니에요?
A.
결론부터 말하면 4복선 맞고
저게 저렇게 된 이유는 우에노도쿄라인 시스템이랑 지하 도쿄역의 존재를 알고 있으면 좀 수월한데
그냥 우에노도쿄라인은 일본 수도권을 남북으로 잇는 도카이도 선과 우츠노미야 선 양 선을 연락하는 노선이라 결국은 하나의 노선이고
도쿄역 밑에 지하 도쿄역이 있어서 나리타 공항에서 오는 열차는 전부 지하 도쿄역을 거쳐 요코하마 쪽으로 빠진다고 보면 됨
그래서 실제로는 저 동네는 4복선 구간 맞음
못 믿을 거 같은 유게이들을 위해 도쿄-신바시 구간 상에 있는 유라쿠초역 사진 들고 옴
여기서 구글 지도를 축소해서 보면
아까 위에서 우에노-아키하바라의 구간이 제외된 이유중 하나로
네 노선이 딱 붙어 다녔다는 이유로 제외됬는데
마침 신바시-유라쿠초도 딱 붙어있고
도쿄역 바로 남단이 떨어져있네?
이렇게 ㅇㅇ
그렇게 우리는 저 사진이 도쿄역 남단인걸 알 수 있는 거
Q. 철덕은 그럼 저걸 다 기억하고 찾는거에요?
A.
네
지도 보는 경우도 있겠지만
노선 정보는 엄청 존재감 없는 노선이 아니면 어지간한 건 머릿속에 다 들어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봐야...
블루아카로 비유하면
블루아카를 하도 하다보니 학생 이름 다 외운거랑 비슷한 거
Q. 글 쓴 유게이는 이걸 어떻게 잘 아는 건가요? HOXY?
A. 뭐요 불만있어요?
내가 애니 덕질보다 (10년 일찍) 먼저 한게 일본 철도 덕질인데요?
(그렇다고 민영화 찬성한다니 뭐라니 하면 썰어버림, 얘네 시간표나 급행 시스템만 잘 짜는 거 빼곤 우리나라 철도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쪽, 자연재해 복구 쪽은 우리나라가 확실히 나은 편이기도 하고 ㅇㅇ)
으으 철덕...키모...
누군가는 저렇게 찾을 필요 없이 '헐 나 이 근처에 호텔 잡아서 사진 찍은적 있어' 라고 말하겠지.
일본 토요코인 가니까 아예 철도사진 공모전을 벌이더라.
이렇게 얻어 걸려서 맞추는 경우도 있긴 함
근데 저기 좀 유명할걸?
내 기억이 맞다면 예전에 SBS였나 도쿄 특파원이 클로징 멘트할때 찍는 장소가 저 근처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모르겠다
대도시에 복선 1개가 따로 있다면 그건 신칸선 노선이니까 신칸선이 육교로 연결된 역 찾으면 더 빨리 찾는 거 아님?
대도시에 복선 하나만 다니는 고가 노선 많아...
당장 도쿄에 해당되는 노선 꼽으라고 하면 30%는 저 안에 들어갈 걸?
저렇게 많은 선로가 한번에 다니니 철도강국이긴 하지.
와 찐짜 씹덕력 오진다
으으... 철덕.. 깐깐한것이와요...
다소의역: 딱 보면 안다
스..슷꼬이 데스
나고야가 큰 도시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