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영화판 꼰대들을 한번에 묻어버렸던 대사건
1996년 대종상 시상식에서 개봉은 커녕 편집 조차 안끝난 애니깽이란 영화가 대종상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여우조연상 등 주요 부분을 수상
당연히 반응은 분노 대폭발이었고 원래 이미지가 좋지는 않았던 대종상 권위는 레알 나락으로 떨어짐
그간 쌓여있던 대종상의 ㅂㅅ짓에 대한 분노를 한번에 분출시킨 대사건
애니깽이 제쳐버린 그 해의 수상 유력 영화들은
꽃잎,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은행나무 침대 등이 있었음
세 영화 모두 30년이 다되가는 지금도 명작으로 남아있는 에픽급 영화들
그런데 편집조차 안끝나 아무도 못본 영화가 어떻게 상을 싹슬이 했는가..하면
90년대 중반 쯤 되면 70-80년대 활동하던 영화 원로들이 슬슬 퇴물화 되가기 시작하던 시점이었음
70-80년대 국산 영화란게 몇몇 빼고 대부분은 주먹구구 제작에 심형래/남기남 급의 시나리오와 촬영, 편집 수준이 기본
그러니 국산 영화 = 쌈마이 가 공식이었고 이 원로들은 군사 정권에 빌붙어
대충 발로 만든 국산 영화로 필수 쿼터만 채우고 외화 수입해서 먹고 살았음
대종상은 이 원로들의 놀이터였던 것
이 퇴물들이 치고 올라오는 영화계 신예들에게 슬슬 위기감을 느끼자
같은 원로급의 김호선이 감독한 애니깽에 상을 몰아줌
자기들을 무시하는 젊은 놈들에게 우리의 힘을 보여주자고 저지른 무리수였는데..
당연히 반응은 분노 대폭발이었고 대종상은 그때부터 맛이 가고 권위는 쓰레기가 됨
참고로 애니깽은 이후 개봉을 하긴 했으나 관객 200명의 처참한 성적을 거두고 샷따를 내렸다
그리고 애니깽 사태 후 불과 3년 후 개봉해 저 영화계 원로들을 영원히 땅에 파묻은 영화가 바로
원로들의 쌈마이 영화는 더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며 관짝에 넣어버렸다
쉬리 이후에 명성을 유지하며 활동했던 유일한 원로 감독이 임권택 정도밖에 없었으니..
한국 영화는 쉬리 이전과 이후로 나뉘지
쉬리 만들고 다들 블록버스터면 다 성공하는줄알고 성냥팔이 소녀를... 맨데이트를......
한석규 최민식 송강호를 데리고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
그건 쉬리고
은행나무침대가 그 무협물 느낌나는 그거 아닌가?
은행잎 샛노랗게 화면가득 보여주던거 봤던기억이 나는데 맞나 모르겠네
황장군 신현준이 눈맞고 무릎꿇고 있는 장면이 유명하지.
이거
근데 감독이 좀... 공동경비구역 JSA 보고 자기 때문에 흥행한 영화라고 함.
쉬리 판권만 안 꼬였으면
베를린도 쉬리 세계관에 넣을 수 있었을것 같은데 ㅋㅋ
또 판 안 뒤집히나
은행나무 침대 가야금소리는 진짜 명곡이지
최민식은 저때도 늙었었네
심지어 쉬리 때만 해도 한석규 원탑에 송강호 최민식은 나름 잘 하는
배우 느낌이지 지금처럼 믿고 보는 배우가 아니었던 것도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