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루리웹 (1710964)  썸네일on   다크모드 on
ideality.. | 24/06/15 13:27 | 추천 8 | 조회 41

[삼국전투기]팔문금쇄진 연구 +41 [6]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6469189

img/24/06/15/1901a0c186550af5b.jpg


팔문금쇄진이란 방원진의 변형으로, 어떤 방향의 공격이 들어와도 문을 교묘히 열어 적을 반포위하는 진형.

img/24/06/15/1901a0c19a050af5b.jpg

그러나 전략은 시시각각 변하는 전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것, 미리 짜놓은 진영이 어떤 상황에도 알맞게 반응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img/24/06/15/1901a0c1cc050af5b.jpg

조운의 500기 선봉대가 남서쪽 경문으로 돌진한다. 그리고 팔문금쇄진이 발동되었다.

img/24/06/15/1901a0c1df650af5b.jpg

그런데 조운은 생각지도 못한 움직임을 보인다. 적진 외곽을 시계방향으로 뱅뱅 돌기 시작한 것.

img/24/06/15/1901a21b8d050af5b.jpg

팔문금쇄진은 적의 공격에 반응해서 운영되다 보니 적의 의미 없는 움직임에도 일일히 반응하고, 그러다 보면 진영이 혼란에 빠진다는 단점이 있다. 조운의 기병대는 적진의 남서쪽 경문을 빙 돌아 남동쪽 생문으로 돌입. 이미 혼란에 빠진 경문으로 빠져나온다. 그렇게 돌파를 허용한 팔문금쇄진은 완전히 붕괴되고 뒤따라온 관우와 장비의 본대는 조인군을 초토화시킨다.


팔문금쇄진을 짠 조인은 '적이 아무 목적 없이 진영 주변을 뱅뱅 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상정해 놓지 않았거나. 상정했더라도 그에 대비한 훈련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적이 이런 움직임을 보일 것이란 걸 안다면 대응은 어렵지 않다. 팔문금쇄진의 움직임을 일단 중지하고 자리를 지키도록 한 뒤, 아군 기병대를 출진시켜 견제하고 적이 진영 안으로 돌격하면 그 때 진형을 변화시켜 반포위하면 된다. 아군 진영 주변을 뛰어다녔으니 적 기병의 돌파력은 떨어지게 되어 있다. 돌격하지 않는다면 지친 적군을 아군 기병으로 추격할 수 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팔문금쇄진이 무슨 진인지, 생문으로 돌입해 경문으로 빠져나오면 왜 팔문금쇄진이 무너지는지는 나오지 않는다.


[신고하기]

댓글(6)

이전글 목록 다음글

67 8 9 10
    
제목 내용